
임종섭(Jeongsub Lim)
교수 (Professor)

Peer-reviewed articles about data journalism, text mining, and machine learning
8. 임종섭·김진희 (2020). 알고리즘 기반의 프레임 추출로 본 정부와 언론의 원자력 프레임 경쟁 양상: 프레임 자동 추출 기법의 효율성
과 타당성 연구. <언론과학연구>, 20권 1호, 151-190.
7. 임종섭 (2019). 방송 뉴스 프레임의 자동 추출 기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지상파 방송사, 종합편성채널, 보도전문채널의 부동산 정책
보도를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20권 1호, 47-96.
6. Jeongsub Lim (2019). Representation of data journalism practices in the South Korean and US television news.
International Communication Gazette, 81(1), 89-113. (SSCI)
5. 임종섭 (2018). 애플리케이션 사용 유형과 모바일 뉴스의 지각된 속성의 관계성: 모바일 앱 의존성과 텍스트 마이닝을 중심으로.
연세대 <사회과학논집>, 49집 2호, 17-45.
4. 이찬주·임종섭 (2018). 언론 프레임의 온라인 문화적 공명이 여론 틀 짓기에 미치는 영향 관계: 김영란법 관련 기사와 댓글에 대한
텍스트 마이닝 및 그랜저 인과 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2권 4호, 82-121.
3. Jeongsub Lim, Jinhee Kim, & Gyeongmi Lee (2017). Does data journalism matter for social media users? Users’ perspectives
on digital data-based news. Asian Communication Research, 14(2), 5-32.
2. 임종섭 (2016). 취재기자의 데이터 저널리즘 인식과 활용에 관한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7권 3호, 91-136.
1. 김진희·임종섭 (2016). 데이터 뉴스의 특성과 개념 정의에 대한 연구: 2012년부터 2015년 국제 데이터 저널리즘 시상식의 수상
콘텐츠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이론>, 12권 2호, 47-88.
Peer-reviewed international articles
18. Myoungsoon You, Jeongsub Lim, Minsun Shim, & Youngkee Ju (2019). Outrages effects on food risk perception as
moderated by risk attitude. Journal of Risk Research, 22(12), 1522-1531. (SSCI)
17. Chang, H. Lee, Youngdae, Won, Jungyul, Park, & Jeongsub Lim (2018). Laughter: Psychological mechanisms, considerations,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Brain Behaviour and Cognitive Sciences, 2(1), 1-5.
16. Jeongsub Lim (2016). Effects of social media users’ attitudes on their perceptions of the attributes of news agency content
and their intentions to purchase digital subscriptions. New Media & Society, 18(8), 1403-1421. (SSCI)
15. Youngkee Ju, Jeongsub Lim, Minsun Shim, & Myoungsson You (2015). Outrage factors in government press releases of food
risks and their influence on news media coverage.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20(8), 879-887. (SSCI)
14. Jeongsub Lim (2014). A model of functional rules for social media in the networked news sphere.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4(3), 279-294 (SSCI)
13. Jeongsub Lim (2014). Redefinition of online scoops: Online journalists’ personal and institutional responses to online scoops.
First Monday, 19(1), 1-14. (SCOPUS)
12. Jeongsub Lim (2013). The relationships of online journalists’ emotional responses to competitors with job satisfaction,
workload, and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the news website.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3(2), 209-224. (SSCI)
11. Jeongsub Lim (2013). Power relations among popular news websites for posting headlines through monitoring and
imitation. New Media & Society, 15(7), 1112-1131. (SSCI)
10. Jeongsub Lim (2012). Competitors’ news coverage as a source within economic and symbolic power relations.
First Monday, 17(11), 1-15. (SCOPUS)
9. Jeongsub Lim (2012). The mythological status of the immediacy of the most important online news: An analysis of top news
flows in diverse online media. Journalism Studies, 13(1), 71-89. (SSCI)
8. Jeongsub Lim (2011). First-level and second-level intermedia agenda setting among major news Web sit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1(2), 167-185. (SSCI)
7. Jeongsub Lim (2011). Intermedia agenda setting and news discourse: Strategic responses model for a competitor’s breaking
stories. Journalism Practice, 5(2), 227-244. (SSCI)
6. Hyunjin Seo & Jeongsub Lim (2010). A comparative study on source credibility and source use during the six-party talk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4), 440-455. (SSCI)
5. Jeongsub Lim & Lois Jones (2010). A baseline summary of framing research in public relations from 1990 to 2009.
Public Relations Review, 36(3), 292-297. (SSCI)
4. Jeongsub Lim (2010). Convergence of attention and prominence dimensions of salience among major online newspaper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5(2), 293-313. (SSCI)
3. Jeongsub Lim & Hyunjin Seo (2009). Frame-flow between government and the news media and its effects on the public:
Framing of Nor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21(2), 204-223. (SSCI)
2. Jeongsub Lim & Jiyang Bae (2009). Influence of the gender of reporters, news topics, and circulation size on framing of
public relations. Public Relations Journal, 3(1), 1-17.
1. Jeongsub Lim (2006). A cross-lagged analysis of agenda setting among online news media.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83(2), 298-312. (SSCI)
Book chapter
Betty H. Winfield & Jeongsub Lim (2007). An intelligent account of the day’s events in a context which gives them meaning:
Historical referents in European and North American immigration news stories. In D. W., Hatley & P. F., Furr (Eds.),
Freedom fighter (pp. 131-148). Natchitoches, LA: Northwestern State University Press.
Book
임종섭 (2020). 뉴스 프레임과 의제의 자동 추출과 해석 모형. 서울: 서강대학교출판부 (125 서강학술총서).
임종섭 (2015). 커뮤니케이션 과학의 지평 (공저). 서울: 나남.
임종섭 (2015). 정책PR론 (공저).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임종섭 (2015). 소셜 미디어와 언론의 관계성.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임종섭 (2015). 데이터 저널리즘.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Peer-reviewed articles in Korean journals
25. Jeongsub Lim, & Chang H. Lee (2019). Complex language, negative emotion, and entertainment: Psychological linguistic
elements of mobile comments on news stories. 연세대 <사회과학논집>, 50집 2호, 93-115.
24. 임종섭 (2019). 언론 위기 국면에 국제 뉴스 통신사들의 사례 분석을 통한 연합뉴스의 역할 고찰. <언론과학연구>, 19권 2호,
112-153.
23. Jeongsub Lim, & Chang H. Lee (2018). Psychological effects of fictional elements in a presidential debate on the perceived
issue importance. 국민대 <사회과학연구>, 30집 2호, 103-137.
22. 임종섭 (2017). 언론사 및 뉴스 생산 요인에 관한 인식이 디지털 뉴스 활동에 미치는 관계성: 부르디외의 장 이론과 루만의
체계이론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7권 2호, 193-228.
21. 임종섭 (2016). 국내 디지털 뉴스의제의 흐름에 대한 거시적 분석: 전통 언론사, 인터넷 언론사, 소셜 미디어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0권 5호, 91-120.
20. Park Kisoo, & Jeongsub Lim (2015). Institutional rules for framing healthcare policy issues in national, financial, and
specialized newspapers. Korean Social Science Journal, 42(2), 51-71.
19. 김명준·임종섭 (2015). 탈북자의 미디어 등장과 ‘북한 정보’ 흐름의 변화 - ‘통제’에서 ‘경쟁’으로. 서강대 <사회과학연구>, 23권 2호,
106-137.
18. Changhwan Lee, Kyungil Kim, Jeongsub Lim, & Yoonhyoung Lee (2015). Psychological research using linguistic inquiry
and word count (LIWC) and Korean linguistic inquiry and word count (KLIWC) language analysis methodologies.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16(2), 133-150.
17. 김경일·임종섭·이창환 (2015). 심리학 언어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인문학 연구 탐색. 경남대 <인문논총>, 37집 2호, 131-145.
16. 임종섭 (2015). 대통령 후보자 TV토론에 나타난 현안의 현실 연관성이 젊은 유권자들이 지각하는 현안의 중요성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 <사회과학논집>, 46집 1호, 137-161.
15. 임종섭 (2015). 온라인 신문의 초기화면 광고 게재에 나타난 극단적 상업 저널리즘 현상 분석: 2011년과 2014년을 중심으로.
<언론학연구>, 19권 2호, 61-96.
14. 임종섭·김명준 (2015). 근거이론방법의 고찰과 언론학 연구에 주는 함의: 보수신문과 진보신문의 탈북자 기획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9권 2호, 425-450.
13. 임종섭 (2015). 대통령 후보자 토론 노출이 젊은 층 현안 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 현안의 직간접 연관성, 정향욕구, 경성 뉴스
및 연성뉴스를 중심으로. 국민대 <사회과학연구>, 27집 2호, 167-194.
12. 임종섭·박지희·주영기·유명순 (2014). 식품 위해요소 정보 생산과 감정촉발요인의 관계성:식약처 관계자들과 출입기자들의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8권 6호, 151-177.
11. 임종섭·김진희·최수연·원용진 (2014). 온라인 공동체 규범인식과 몰입이 운영방식 만족, 지각된 가치, 오프라인 모임 참여에
미치는 영향관계. <한국언론학보>, 58권 5호, 153-179.
10. 임종섭 (2014). 한국 온라인 저널리즘 연구흐름 분석: 1995년부터 2012년 국내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4권 1호, 67-102.
9. 최수연·임종섭 (2013). 지상파 방송뉴스와 트위터, ‘나는 꼼수다’의 의제 관계성: 2011년 서울시장 선거를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4권 4호, 5-34.
8. 임종섭 (2013). 소셜 미디어 특성을 다룬 신문기사와 공중파 TV뉴스의 프레임 비교분석: 핵심 프레임과 세부 프레임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3권 3호, 527-555.
7. 임종섭 (2012). 한·미 방송사 뉴스사이트에 실린 인터넷 광고의 선정성 비교분석. <방송문화연구>, 24권 1호, 197-222.
6. 임종섭 (2011). 인기 뉴스 사이트와 비인기 뉴스 사이트 간의 의제흐름에 대한 시계열 분석.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19권 3호,
49-71.
5. 임종섭 (2011). 매체 관심도와 기사 부각도에서 분석한 대형 뉴스사이트 간 의제설정효과. <미디어 경제와 문화>, 9권 3호, 57-94.
4. 임종섭 (2011). 온라인 뉴스 홈페이지 머리글 기사의 차별화와 표준화 분석: 국내 13개 뉴스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5권 3호, 81-102.
3. 임종섭 (2010). 매체간 의제설정의 관계성 고찰: 유력 뉴스 사이트들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0권 4호, 498-532.
2. Jeongsub Lim (2010). The correspondence between individuals' frames and circulation size: Analysis of U.S. daily
newspapers’ letters section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Studies, 18(4), 51-66.
1. 임종섭 (2010). 미시적 접근을 통한 뉴스 사이트 게재공간의 내용과 디자인 특성 비교. <한국언론학보>, 54권 5호, 254-276.